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청두 헌터즈

덤프버전 :

''' ||


파일:청두 헌터즈 로고.svg
청두 헌터즈
Chengdu Hunters | 成都猎人队
창단2018년 9월 6일
해체2023년 6월 20일
연고지중국 쓰촨성 청두시
컨퍼런스태평양 컨퍼런스
디비전동부 디비전
홈 경기장Wuliangye Chengdu Performing Arts Center
아카데미팀 체이서
테마곡Coda - Hunters 공식 M/V 및 영어 자막[* 청두 헌터즈 공식 트위터에 올라왔던 영상이다. 다만, 번역되지 않은 사천어가 종종 섞여 있고 번역의 질 자체가 썩 좋지 않다.]
모기업파일:후야 로고.png
오너둥룽제
매니저천잔청
Cc
부매니저궈위에자
Victoria
|친이헝
Luke
감독장지항
Yaoxie
약칭CDH
파일:청두 헌터즈 로고 2.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시나 웨이보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디스코드 아이콘.svg
2022 시즌 로스터
[ 펼치기 · 접기 ]
팀 컬러 및 유니폼
[ 펼치기 · 접기 ]

팀 컬러
2020 시즌 유니폼
파일:청두 헌터즈 2020 홈.jpg파일:청두 헌터즈 2020 어웨이.jpg
어웨이

1. 개요
2. 수상 기록
3. 역사
3.1. 창단 당시
3.2. 창단 이후
3.3. 해체
4. 대회 기록
5. 구성원
5.1. 로스터 연혁
5.2. 스태프 연혁
6. 아카데미 팀
7. 기타
8.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파일:청두111.png
#LetsGoHunt | #ChengduZone

2019 오버워치 리그부터 2022 오버워치 리그까지 참가했던 중국 청두시 연고팀.

팀 마크는 청두시의 명물인 판다. 팀 컬러는 모기업인 HUYA Inc.와 Royal Never Give Up의 컬러를 섞어서 만든 것으로 보인다.

리그 공식 약칭 표기는 CDH이지만 비공식적으로 CHE도 아주 가끔 쓰였다.


2. 수상 기록[편집]



3. 역사[편집]



3.1. 창단 당시[편집]


모기업 #[1]이 코치, 감독을 제외한 중국인 선수들로만 구성된 롤팀으로 성공을 한 바가 있기 때문에 청두 팀도 2018 오버워치 월드컵에서 중국팀 주전으로 뽑힌 선수들을 주축으로 컨텐에서 좋은 평가를 받았던 중국 유저들을 긁어 모아 중국인 중심의 로스터를 구성할 것이라는 루머가 있었다.[2] 루머가 뜬 다른 국적의 선수도 중국계라는 말이 있다... 제2의 상하이라는 여론이 가끔 있지만, 전 시즌의 상하이 드래곤즈는 감독의 비리로 구성된 인맥 로스터였기 때문에 비교불가 대상이다. 청두의 로스터 루머를 뒷받침하자면 컨텐더즈&월드컵으로 철저한 검증을 받았기 때문. 유일한 오점이라면 대리 출신 선수 마톈빈.

공개된 9명의 로스터는 모두 중국인 + 대만인으로 구성된 완벽한 중화인 로스터. 2019년 파리 이터널과 함께 한국인이 전혀 없는 유이한 팀이 되었다. 중국계 미국인 선수인 silkthread도 원래 계약했지만 리그 시작 전에 은퇴하고 Apex 레전드로 전향해 2019년 3월 1일 Gen.G Esports에 입단했다. 코치진도 전부 중화권 출신으로 이루어질 것으로 보인다.

초반 2019 시즌 신생팀에 대한 평가 중에선 청두 헌터즈가 가장 부정적인 편에 속했다. 딜러의 경우 YangXiaoLongbaconjack의 실력은 검증 되었으나 1년 가까이 공백기를 가진 선수이고, JinMu는 당시 별로 주목받지 못하던 평범한 컨텐더스 선수였다. 2018 오버워치 월드컵 중국 국가대표 lateyoungYveltal, Lucky Future Zenith 감독인 정영수 감독이 중국 최고의 서브힐러라고 극찬한 Garry 등 좋은 선수들도 있지만, 시즌 1 상하이 드래곤즈의 엄청난 임팩트와 로스터에 상술한 불안요소가 공존하는 점,[3] 그리고 중국 내에서 최고의 입지를 가졌던 선수들을 놓쳤다는 인식[4]으로 인해 꼴찌를 다툴 것이라는 평가가 대체적이며 이러한 부정적 평가를 벗어낼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졌다.


3.2. 창단 이후[편집]


첫 스테이지부터 동서양, 선수, 관계자, 팬 할것없이 컬트적인 인기를 구가하고 있는 팀이다. 33메타 고착화로 다들 딜러 없이 33 미러전을 할 때 청두만은 ameng의 레킹볼을 필두로 하여 222 조합으로 싸우고 있다. 또한 시즌 시작 전에는 20팀 중 20위로 평가받았으나 예상외로 선수들의 기량이 만개하면서 나쁘지 않은 성적을 보였다. 그러다가 스테이지4에 들어서서 리그 최초로 뉴욕 엑셀시어를 4:0 압살시켰다.

에이멍의 끝이 없는 레킹볼 사랑, 33메타를 거스르는 딜러조합과 다른 팀 경기에선 보기 힘든 딜러 영웅들의 활약, 대리팀 상대로는 가차없지만 청렴한 팀을 상대로는 대리전력이 있는 레이트영의 속죄를 위해 패배하는 아멩어사 컨셉, 유쾌한 팀 트위터 등[5]으로 팀의 인기가 매우 좋다. 중국 연고지 팀들의 각각의 개성 덕분에[6] 응원하는 팀과는 별개로 청두를 좋아하는 팬도 있는 편. 이러한 인기를 입증이라도 하듯이 팬투표로 선정되는 올스타전 선발 라인업에 세 명의 선수나 이름을 올렸다.

시즌 초반에는 여러 우려가 산재했던 팀이었지만, 실상 스테이지가 시작되면서는 가장 컬트적인 인기를 보유한 팀이 되었다. 에이멍을 중심으로하는 특유의 레킹볼 고집과 조합 구성으로 일명‘청두의 늪에 다른 팀들을 빠트리면서 상당히 재미있는 게임들을 많이 만들어냈기 때문이다. 성적 자체는 중~중하위권 수준이지만 늘 재미있는 플레이를 만들어내다보니 성적과는 별개로 청두를 응원하는 팀이 한국에서도 상당히 많은편이다. 게다가 중국 연고지 팀 중에서는 가장 중화권 선수 비중이 높은 팀이라 비트 후원과는 별개로 중국에서의 인기가 좋은편이라 LA로 직관하러 온 중국팬들도 많다.[7]

2019년 7월 Leave의 영입을 발표하면서 Miraculous Youngster 주전 6인 중에 딜러, 탱커 라인이 청두로 합류 하였다. 2019 오버워치 월드컵 중국 대표팀의 과반수 이상이 청두 선수들로 구성이 되었다. 청두의 스테이지4 선전을 근거로 이번 월드컵에서는 중국이 지난해처럼 상당한 강세를 보일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3.3. 해체[편집]


2023년 1월 오버워치 2의 중국 서비스 종료로 인해 오버워치 2와 작별인사를 하는 트윗을 마지막으로 소식이 없고, 결국 이번 2023 오버워치 리그의 불참을 선언하였다.# 모기업인 후야닷컴이 막대한 적자를 몇 년째 보고 있는 중이라 2021 리그 MVP였던 리브마저 2022년에 연봉이 삭감되었고 2022시즌에 팀 관련 임금 체불도 있을 정도로 힘겹게 버티긴 했으나 이번 2023 오버워치 리그 불참 선언까지 한 이상 거의 해체가 확실시되는 분위기였고, 결국 6월 20일 해체가 확정되었다.

4. 대회 기록[편집]


파일:청두 헌터즈 로고 2.svg
날짜순위대회결과상대상금
2019년 8월 26일12위2019 오버워치 리그 정규시즌13/15풀 리그-
2019년 9월 1일11-12위2019 오버워치 리그 포스트시즌1:4파일:광저우 차지 로고 1.svg 광저우 차지-
2019년 12월 2일준우승ESM-OW 상하이 마스터즈 인비테이셔널 20190:4파일:상하이 드래곤즈 로고 1.svg 상하이 드래곤즈-
2020년 5월 23일6강2020 오버워치 리그 5월 난투 - 아시아2:3파일:뉴욕 엑셀시어 로고 1.svg 뉴욕 엑셀시어-
2020년 7월 4일6강2020 오버워치 리그 썸머 쇼다운 - 아시아0:3파일:광저우 차지 로고 1.svg 광저우 차지-
2020년 8월 9일4강[8]2020 오버워치 리그 카운트다운 컵 - 아시아1:3파일:항저우 스파크 로고 1.svg 항저우 스파크$5,000
2020년 8월 24일14위2020 오버워치 리그 정규시즌8/14풀 리그-
2020년 9월 5일5-6위2020 오버워치 리그 플레이-인 - 아시아 티어22:3파일:뉴욕 엑셀시어 로고 1.svg 뉴욕 엑셀시어-
2021년 5월 8일4위2021 오버워치 리그 5월 토너먼트1:3파일:플로리다 메이헴 로고 3.svg 플로리다 메이헴$20,000
2021년 7월 18일준우승2021 오버워치 리그 썸머 쇼다운1:4파일:상하이 드래곤즈 로고 1.svg 상하이 드래곤즈$70,000
2021년 8월 21일3위2021 오버워치 리그 정규시즌11/5풀 리그-
2021년 8월 22일준우승2021 오버워치 리그 카운트다운 컵3:4파일:LA 글래디에이터즈 로고 1.svg LA 글래디에이터즈$70,000
2021년 9월 24일6위2021 오버워치 리그 플레이오프2:3파일:샌프란시스코 쇼크 로고 3.svg 샌프란시스코 쇼크$100,000
2022년 10월 15일5위2022 오버워치 리그 카운트다운 컵 - 동부0:3파일:항저우 스파크 로고 1.svg 항저우 스파크-
2022년 10월 17일16위2022 오버워치 리그 정규시즌9/15풀 리그-


4.1. 시즌별 일람[편집]



4.1.1. 2019 시즌[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청두 헌터즈/2019 시즌#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1.2. 2020 시즌[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청두 헌터즈/2020 시즌#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1.3. 2021 시즌[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청두 헌터즈/2021 시즌#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1.4. 2022 시즌[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청두 헌터즈/2022 시즌#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구성원[편집]



5.1. 로스터 연혁[편집]


로스터 연혁
번호ID이름역할이전 소속입단탈퇴이적
7Kyo쿵춘팅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파일:teamcc_no_text.png Team CC2018년 11월 29일2020년 11월 18일파일:팀 체이서 로고.png 팀 체이서
29Yveltal리셴야오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파일:linGan-e-sports-logo.png LinGan e-Sports2022년 4월 30일파일:UP Academy 2021.png UP 아카데미
77GARRY관리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파일:Lucky_Future_blue_logo.png Lucky Future2020년 1월 15일파일:청두 헌터즈 로고 2.svg 청두 헌터즈 코치
3Elsa뤄원제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파일:linGan-e-sports-logo.png LinGan e-Sports2018년 11월 30일2021년 7월 1일은퇴
5ameng딩멍한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파일:600px-BigTime_Regal_2018.png Big Time Regal Gaming2021년 10월 2일
64lateyoung마톈빈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파일:teamcc_no_text.png Team CC2021년 10월 8일은퇴
24JinMu이후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파일:600px-BigTime_Regal_2018.png Big Time Regal Gaming2018년 12월 1일2023년
74Baconjack로쯔헝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파일:external/chuantu.biz/1468073298x2372228391.png Flash Wolves2020년 10월 16일은퇴
88YangXiaoLong장즈하오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파일:600px-Triple_Six_Legend.png Triple Six Legend 코치2019년 12월 27일
99JIQIREN웨이엔쑹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파일:teamcc_no_text.png Team CC2019년 1월 17일
23Leave황신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파일:external/wiki.teamliquid.net/Miraculous_Youngster_logo.png Miraculous Youngster2019년 7월 25일2023년 3월 6일파일:항저우 스파크 로고 1.svg 항저우 스파크
53ATing천샤오화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파일:600px-NOVA_Monster_Shield.png Nova Monster Shield2020년 1월 15일2020년 10월 16일은퇴
28Lengsa천징이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파일:LGE_Logo_2018.png LGE.Huya2020년 11월 18일파일:팀 체이서 로고.png 팀 체이서
66Molly허청즈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2020년 11월 25일파일:상하이 드래곤즈 로고 1.svg 상하이 드래곤즈
9Jimmy레이위자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파일:Ultra_Prime_logo.png 울트라 프라임 아카데미2020년 11월 20일2022년 1월 10일파일:팀 체이서 로고.png 팀 체이서
99Kaneki류녠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파일:Team_Cat_cn_logo.png Team CAT2021년 6월 17일파일:팀 체이서 로고.png 팀 체이서
10Nisha탄리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파일:BLG_Overwatch_logo.png Bilibili Gaming2020년 11월 23일2023년
46GA9A추자신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파일:teamcc_no_text.png Team CC2020년 11월 27일2023년파일:광저우 차지 로고 1.svg 광저우 차지
87Farway1987차오자러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2022년 4월 30일파일:광저우 차지 로고 1.svg 광저우 차지
21Mmonk저우샹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파일:팀 체이서 로고.png 팀 체이서2021년 3월 25일2023년 3월 7일파일:항저우 스파크 로고 1.svg 항저우 스파크
89TaroCook1e중윈룽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2021년 6월 17일2022년 1월 10일파일:팀 체이서 로고.png 팀 체이서
1Apr1ta리위안징하오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2022년 2월 14일2022년 4월 30일파일:UP Academy 2021.png UP 아카데미


5.2. 스태프 연혁[편집]


스태프 연혁
<rowcolor#161823> ID이름역할이전 소속입단탈퇴이적
RUI왕싱루이감독파일:상하이 드래곤즈 로고 1.svg 상하이 드래곤즈2018년 11월 27일2019년 11월 17일파일:청두 헌터즈 로고 2.svg 청두 헌터즈
파일:청두 헌터즈 로고 2.svg 청두 헌터즈2020년 9월 18일2022년 1월 3일파일:청두 헌터즈 로고 2.svg 청두 헌터즈 명예고문
명예고문파일:청두 헌터즈 로고 2.svg 청두 헌터즈 감독2022년 1월 3일2022년 4월 14일파일:항저우 스파크 로고 1.svg 항저우 스파크 감독
Ray창치아화코치
→ 감독
파일:external/chuantu.biz/1468073298x2372228391.png Flash Wolves2018년 11월 27일2020년 9월 18일
Dokkaebi우슈친감독파일:LGE_Logo_2018.png LGE.Huya2020년 1월 15일2020년 7월 27일
GARRY관리코치파일:청두 헌터즈 로고 2.svg 청두 헌터즈
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 SUPPORT
2020년 9월 18일
Chen천무룽감독파일:2020 Like This Player.png Like This Player2020년 7월 27일2020년 9월 18일파일:167px-First_Fabulous_Fighter_logo.png First Fabulous Fighter
Yaoxie장지항코치 → 감독파일:Flag Gaming Logo2.png Flag Gaming2020년 11월 18일2023년
creed엔샤오코치파일:광저우 차지 로고 1.svg 광저우 차지2022년 4월 30일파일:항저우 스파크 로고 1.svg 항저우 스파크 코치
Jfeel김정민코치파일:상하이 드래곤즈 로고 1.svg 상하이 드래곤즈2022년 1월 3일2022년 4월 4일파일:WGS VALORANT 2021.png WGS X-IT 발로란트 감독


6. 아카데미 팀[편집]



6.1. LGE.후야[편집]


2019년 1월 17일, 기존 컨텐더스에서 활동하던 LinGan e-Sports와 파트너쉽을 맺고 아카데미 팀을 운영하였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LGE.Huya#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년 계약이었는지 2020년 1월 16일에 파트너쉽 계약이 종료되었고, 이후 한동안 아카데미 팀을 두지 않다가 후술할 Team Chaser가 창단되었다.


6.2. 팀 체이서[편집]


2020년 11월 18일, 청두에서 새로 아카데미팀을 창설하였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팀 체이서#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기타[편집]


  • 어떠한 연유인지 청두 헌터즈의 공식 SNS 계정이 생성되면서 공식 팀명, 로고, 컬러 등을 공개했다가 급하게 삭제한 해프닝이 있었다.
  • 로고에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시그니처를 박아놓은 항저우 스파크의 임팩트 때문에 묻히지만 청두 쪽이 오히려 더한 오타쿠 집단이란 얘기가 있다.창단 멤버들의 닉네임이 대부분 애니메이션/게임 쪽에서 따온 것이 대다수이기 때문. 이미 유명한 도라에몽의 중국식 발음인 둬라에이멍, 겨울왕국엘사 외에도 RWBY양샤오롱, 킹오파쿠사나기 , 포켓몬스터의 이벨타르, Ib게리, 딱히 연상되는게 없던 진무도쿄구울 주인공 카네키 켄의 성인 金木를 중국식으로 읽은 것이라고 한다.[9]

  • 루시우를 잘하는 메인힐러 선수를 영입하려고 여러 번 시도했으나 번번이 실패하고 있다. 2020 시즌에는 Lengsa, 2021 시즌에는 Nisha를 영입했는데, 둘 다 바티스트(Lengsa)와 메르시(NIsha)에 비해 루시우 숙련도가 영 안 좋다.

  • 창단 멤버로는 JinMu가 남아있다.


8.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8 19:55:45에 나무위키 청두 헌터즈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소유주인 HUYA Inc.의 로고와 RNG의 로고가 함께 있다.[2] 함께 떠도는 루머로 MY의 에이스 leave가 청두 산하 컨텐더즈 팀으로 영입되었으며 나이가 차는 즉시 합류할 것이란 정보가 있다.[3] 딜러인 양사오롱과 배이컨잭은 배틀그라운드 프로 전향 이후 거의 1년만에 오버워치 프로에 복귀하는거라 다시 적응할 수 있을지가 의문점이고 대부분의 전문가들도 이 부분을 크게 지적했기 때문이다. 양사오롱은 2018년 5월 프로판에 복귀했으나 선수가 아닌 코치로 복귀하였다.[4] Leave는 청두 아카데미 팀으로 들어갔지만 Guxue와 Krystal은 항저우, Shy는 X6-Gaming, Sky는 프로휴식을 택하였다.[5] 팀 트위터에서 바티스트의 불사장치랑 라인하르트의 방벽을 비교했는데 바티스트의 불사장치가 메인탱커가 레킹볼을 할 수 있다고 불사장치가 더 좋다고 하였다.[6] 상하이 드래곤즈슈퍼스타 감사용을 방불케하는 1승 도전기, 항저우 스파크는 핑크 스킨과 이기나 지나 올라오는 일러스트들 덕분에 응원하는 팬들이 많은 편이다.[7] 오버워치 리그에 참가한 중국팀의 인기는 항저우-상하이-청두-광저우 순이라고 보면된다. 항저우는 특유의 덕후들의 심리를 자극하는 마케팅이 성공적으로 먹혀 들어간데다가, 모기업 비리비리가 인터넷 방송회사다보니 중국 내 마케팅과 홍보를 철저히 하여 팬덤을 흡수하고 있고 상하이는 전시즌 전패라는 스토리가 있어서인지 오버워치를 몰라도 응원하고 싶어지는 언더독 감성, 청두는 특유의 플레이 색깔로 인해 33조합에 질린 많은 팬들의 관심을 끌어모아 마찬가지로 안정적인 인기를 보유하고있다. 광저우는 성적 자체는 중위권은 무난하게 찍는 안정적인 실력을 보유했지만 항저우같은 성공적인 마케팅 기술도, 상하이같은 극적인 배경 스토리(?)도, 청두같은 뚜렷한 팀 색깔도 보이지 못하고있는 상황이라 상대적으로 인기가 낮다.[8] 정규시즌 1승 추가[9] 이후 일본식으로 읽은 카네키도 합류했다.